일상 생활비에 직접 적용되는 인플레이션에 대한 두 가지 측정 방식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와 생산자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
CPI는 가정이 소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와 용역의 평균 가격을 측정한 지수이다. CPI를 이용해 급여(wage), 봉급(salary), 연금, 물가를 연동시켜 인플레이션의 영향을 조정한다.

미국의 현재까지 CPI 지표
PPI는 제조업자가 판매한 상품의 가격 변동을 측정한 지수이다. 제조업자의 관점에서 본 인플레이션 척도로 원자재와 식품 가격이 소매가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압력의 좋은 선행 지표이다.

CPI와 PPI는 연방준비이사회가 '물가'와 고용' 안정이라는 중요한 책무를 수행함에 있어 경제 상황을 평가하기 위한 주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ederal Open Market Committee, FOMC)는 인플레이션율을 약 2%대에서 유지할 수 있도록 통화정책을 시행한다.
만약 PPI 또는 CPI 수치가 이 수준을 넘어서 유지된다면, 연준은 이것이 경제에 위협이 된다고 간주한다. 그리고 물가 상승을 통제하기 위하여 금리를 인상을 하거나 양적 긴축(Quantitative Tightening, QT)을 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장기간 저인플레이션 혹은 물가상승이 마이너스를 유지한다면 중앙은행은 경제를 활성화 하기 위하여 금리를 인하를하거나 양적 완화(Quantitative Easing, QE)를 실시하여 조치를 취할 것을 고려할 것이다.
'경제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ISM 제조업구매자지수(PMI) 란? (0) | 2022.04.26 |
---|---|
고용보고서 란? (Feat.금리, 채권가격의 영향) (0) | 2022.04.26 |
명목 금리와 실질 금리 이란 무엇인가? (Feat. 인플레이션) (0) | 2022.04.26 |
공매도 란?(Feat. 숏스퀴즈) (2) | 2022.04.26 |
숏커버링(환매수)이란? (0) | 2022.04.26 |